광고코드

불주사 맞는 이유

 

어릴 적 불주사 접종에 대한 공포를 한 번씩은 다 경험했을 것이다. 과거 1952년에 도입된 불주사의 명칭은 바로 BCG 주사다. 결핵을 예방해 주기에 필자는 어렸을 때 초등학교에서 단체로 접종을 한 기억이 있는데 오늘은 불주사를 맞는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불주사 맞는 이유

 

불주사의 추억

 

 

 

지금이야 보기 싫은 켈로이드 흉터가 남지 않으나, 예전 주사기가 귀한 시절 재사용 목적으로 알콜램프 불이나 촛불에 주사 바늘을 달궈 소독을 하여 주사를 놓으면 부풀어 오르고 흉터가 남아 불주사로 이름이 붙여졌다.

 

1988년 이후에나 1회용 주사기 도입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불주사는 자취를 감추었으나 아직도 불주사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보면 당시의 추억이 아련하다. 지금의 20대나 30대를 보면 불주사 흉터는 보이지 않고 18개의 자국이 보이는 분들이 대부분이다.

 

그 이유는 '93년도 등장한 18개짜리 바늘로 구성된 도장형태의 주사가 출시되었기 때문이다. 접종 연령도 생후 4주 이내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럼 왜 BCG를 왜 맞아야 하는지 확인해 보자.

 

좌(피내용 접종), 우(경피용 접종)

 

불주사 맞는 이유

 

 

 

프랑스에서 암을 치료하기 위해 만든 BCG는 미코 박테리움이라는 면역체계에 작용하는 효과를 만들어 내는 것을 보고 결핵예방 백신으로 보급하여 널리 퍼지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경우 BCG는 4주 이내의 신생아에게 놔주는 국가접종이다.

 

만약 생후 4주 이내의 기간을 놓친경우 늦어도 12개월 이내는 예방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그 이유는 결핵을 예방하기 위함인데 결핵균은 성인에게도 위험한데 아기들에게는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전염성이 강한 질병이라 한 명이 걸리면 코로나보다도 정말 무서운 질환이다.

 

보통 결핵균은 폐뿐 아니라 장기 여기저기에 감염되어 발생하는데, 그 중에서도 폐결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결핵균 자체가 호흡기로 공기를 통하여 전파되기에 같은 공간에서 결핵환자와 대화, 기침, 재채기는 상당히 위험하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참고로 결핵으로 매년 800만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으며, 아이들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결핵 자체로의 사망원인보다는 뇌척수막염의 합병증으로 번지는 결과로 인하여 사망에 이른다. 인류가 아주 오랜 기간 공존해 온 결핵은 세계적인 질병으로 결핵에 걸렸어도 무증상인 환자들이 무려 전체의 3분의 1이기에 우습게 볼 질병이 아니다.

 

BCG 접종 불가 대상

아무나 접종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BCG 접종이 불가한 대상자는 에이즈 감염환자, 장기이식 예정자, 임산부 등은 접종을 권장하지 않는다.

 

경피용과 피내용

 

 

 

요즘 BCG접종하는 분들의 팔에는 아래와 같이 9개씩 2개의 바늘 자국이 보인다. 바로 경피용 접종인데, 경피용 주사는 피부에 미리 주사액을 묻혀놓고 좌측에 보이는 9개의 바늘 주사로 두 번을 눌러 접종한다. 주사처럼 피내용보다 경피용 방법이 흉터가 거의 남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경피용 BCG접종

단, 경피용 접종은 5~7만원 정도의 가격 형성이 되어 있나 주사 한방 맞는 피내용 백신은 보건소 가면 무료접종이 가능하다. 개인적으로 보면 돈을 떠나 9개의 주삿바늘 흉터보다는 1개의 피내용 접종이 가격도 무료인 데다 과거처럼 큰 흉터가 남지 않기에 피내용 접종이 더 권장한다.

 

 

얀센백신부작용 몇가지 확인하고 맞자

과거 크루셀이란 미국의 기업은 존슨앤드존슨 자회사다. 존슨앤드존슨에서 개발한 얀센 백신을 현재 1회만 맞아도 항체가 형성되게끔 개발한 백신으로 계속 접종 중에 있다. 얀센은 현재 한국

gaomansasung.tistory.com

 

무지외반증 교정기 치료가능할까?

엄지발가락에서 아래로 약 3~4cm 아래가 툭 튀어나와있는 듯한 증상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특히 여성분들이 이런 증상이 많다. 이 증상을 무지외반증이라고 하는데 정확하게 엄지발가락 제1중족

gaomansasung.tistory.com

 

 

기면증 자가진단 7가지 확인(기면증)

오늘은 중요한 미팅이 있는 날이라 절대 졸면 안 되는 날이다. 그래서 밤에 충분히 잠을 잤는데도 쏟아지는 잠을 피할 수 없고 무기력감까지 더해진다. 앉아 있는 채로 잠이 들었는지 무슨 꿈까

gaomansasung.tistory.com

 

 

말벌에 쏘였을 때 이 방법으로 대처!

필자도 꿀벌을 잡아서 몸에 침을 놓을 때가 있다. 팔과 다리의 통증이 심해질 경우 직접 통증 부위에 1~2번씩 벌침을 놔주면 통증이 금방 사그라 지는 효과를 본다. 그 이유는 벌침에 있는 독 성

gaomansasung.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