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로운 문어라고 불리는 파란고리 문어(Blue-ringed octopus)는 맹독성이기에 함부로 다루지 말아야 할 대상이다. 아열대 지역 해안가에서 서식하는 맹독석 연체동물인데 복어 독에 1000배에 달하는 독을 지니고 있다.
이 녀석은 스솔 위험을 감지하면 푸른 고리 무늬를 드러내는데, 아름답다고 손을 대거나 관심을 갖지 말아야 한다. 이빨이 강한편에 속하여 옷은 물론 잠수복을 뚫어 버린다.
크기는 보통 12~20cm 정도로 그 크기는 미약한 편이나 독만큼은 어느 생물 못지 않은 강력함을 자랑하고 있기에 분명하게 오늘 기억을 해야 한다.
물론 아열대지역에 서식하는 녀석이지만, 우리나라도 온난화로 인하여 안전 지역이 아니다. 제주해역뿐 아니라 영덕에서 출물하여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있다. 이제는 매년 남해안과 동해, 남부 연안에서 발견되고 있기에 주의를 해야 한다.
평소에는 일반 문어와 비슷하게 위장색을 유지하여 있다, 위협을 느끼면 선명한 파란고리 무늬가 드러난다. 2012년 국내에 처음 그 모습을 드러내고 심심치 않게 자주 발견되기에 주의를 요한다.
이 녀석의 독 성분은 복어가 가지고 있는 테트로도톡신을 가지고 있어, 물리면 치명적인 중독으로 마비증상과 구토를 동반 하게 된다.
이 녀석은 신기하게도 몸 표면 점액과, 먹물에도 독을 가지고 있다. 턱과 이빨에는 청산가리의 10배가 넘는 독을 가지고 있어 소량으로도 생명을 잠재울 수 있다.
파란고리문어에게 물리면 호흡곤란, 구토, 신체마비 증상으로 생명을 잃을 수 있기에 일단 만지지 말고 신고를 해야 한다.
물론 독이 침샘과 이빨에 있기에 이빨과 침샘 제거를 하면 식용이 가능하나 손질하면서 위험할 수 있기에 구태여 이 녀석을 먹기위한 모험을 할 필요는 없다.
이렇게 열대아지역에서 사는 맹독성 동물들이 출몰하는 이유는 해역 수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다행 스럽게 아직 제주바다에 정착한 것은 아니고 출현 빈도만 늘어난 것이기에 당분간은 암신을 해도 될 듯 하다.
내년 여름 남해나 제주 바다의 해수욕장을 가시는 분들은 모래바닥에서도 이 녀석이 서식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평소에는 일반 문어와 동일하게 생겼기에 잡으려고 손을 뻗쳐 만지는 순간 파란색고리를 드러내며 물리는 순간 생을 마감할 수 있으니 절대적으로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제 글이 바다를 자주 가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이길 바랍니다. 방문해 주신 분들께 감사의 인사 올립니다. 겨울철 감기 조심하세요.
다른 글 보기
쐐기벌레 함부로 만지지 말것!
어릴 적 시골에서 자라온 분들은 쐐기벌레가 얼마나 무서운 독충인지 잘 알고 있으나 요즘에 이 벌레를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귀여운 외관만 보고 호기심에 만졌다가는 독침에 쏘이고 나
gaomansasung.tistory.com
권연침벌은 화상벌레 아닙니다.
최근에 집에 자주 출몰하는 화상 벌레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필자도 모기에 물린 줄 알고 있어서 보니 어느 날 집에 화상 벌레가 있어 당장에 죽인 기억이 나네요. 이
gaomansasung.tistory.com
흑염소효능 태음인과 소양인은 피하라
흑염소는 염소 중에서도 작은 편에 속하는데 암놈과 숫놈 모두 뿔이 있으나 수컷의 뿔이 좀 더 크고 뒤로 많이 젖혀져 있으며 수염이 있다. 암컷의 뿔은 더 가늘고 약해 보이며 턱수염이 없는 특
gaomansasung.tistory.com
살인진드기 알면 예방 가능~
살인진드기 증상, 예방, 치료법 보기 요즘 아주 위험한 곤충으로 소개되고 있는 살인진드기는 이름이 정말 살벌하다. 어릴 적 시골에서 자란 분들은 이 살인진드기를 많이 잡아 봐서 알고 있을
gaomansasung.tistory.com
고양이 링웜 방치하지 마세요(장미색 비강진과 구분)
고양이를 키우다 보면 등이니 꼬리 부분에 각질이 많이 일어난 것을 보고 동물병원에 가 보신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육안상으로도 대략 고양이 링웜이란 증상이 어느 정도 구별은 가능하나 정
gaomansasung.tistory.com
'정보공화국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공무원 봉급표 3천이상 되나? (0) | 2022.12.20 |
---|---|
홍시보관법 및 영양가 확인 (0) | 2022.12.18 |
2023년 토끼띠 운세 및 조심할 몇 가지 (0) | 2022.12.13 |
2023년 뱀띠 운세 노력한 만큼이 보상 (0) | 2022.12.12 |
2023년 용띠 운세 새해엔 주의 (0) | 2022.12.11 |